혼인점 1
역은(易隱)에 실려있는 4개의 혼인점을 차례대로 올립니다. 육효에서는 어떤 식으로 점괘를 푸는지 참고가 될 것입니다.
己丑年丁卯月甲戌旬戊寅日,女佔姻,得剝之觀。
"기축년 정묘월 갑술순 무인일, 여자가 혼인점을 쳐서 박지관(剝之觀)괘를 얻었다."
本宮寅財,伏巳火鬼干,又居應上,乃有夫之婦。
"본괘에 寅木 재가 있고 巳火 관귀가 응효에 거하니 남편이 있는 부인이다."
寅巳相刑,必夫妻不睦,而欲改嫁也。
"서로 인사형(寅巳刑)을 하고 있어 필시 부부가 화목하지 못해 개가를 하려는 것이다."
又本宮寅財,與午鬼相生合,決是與人私通,而欲嫁之也。
"또한 본괘에서 寅木이 午火 관귀와 더불어 상합을 하는데, 분명 다른 이와 사통을 하고 있어 개가를 하려는 것이다."
但世上申兄動沖寅財,必有人破其婦。
"다만 세효에서 申金 형제가 동하여 寅木 재를 충하니 필시 부인의 혼인을 깨려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世上傍爻,子孫動沖午鬼,必有人破其夫。
"세효에 자손이 동해 午火 관귀를 충하니 필시 내연남의 혼인을 깨려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況午鬼伏墓戌土之下,世應相衝刑克,必不成也。
"또한 午火 관귀는 戌土에 입묘하고 세응이 서로 상충형극하니 필시 성사되지 못할 것이다."
이 점은 혼인관계에 불만을 가진 한 여자가 개가를 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점괘입니다. 자손효가 동하여 용신인 관귀를 극하고 세응 또한 상극하니 지극히 불리한 점괘를 얻었습니다. 눈여겨볼 점은 혼인중인 상황에서 본괘에 드러난 官鬼는 현재의 남편으로 본다는 점입니다. 여자가 사통하고 있는 남자는 괘에 드러나지 않았어도 합(合)으로 찾습니다.